운명(9)
-
양(養)의 특성
갑술 을미 병축 정술 무축 사술 경진 신축 임미 계진 태에서 잉태된 생명이 양에서 길러진다. 엄마의 뱃속에서 양분을 흡수하여 자라고 탄생 직전까지의 단계다. 가장 편안함을 느끼고 가장 안정적이고 가장 보호를 받는 시기다. 온화하고 온유하고 온순한 성향이 길러진다. 양은 엄마로부터 모든 것을 물려받는다. 이러한 성향으로 양이 강하면 재물, 학업, 능력을 윗대로부터 이어받아 가는 경우가 많다. 적당히 사는 사람이 많다. 자기 실속은 챙기되, 무리하지 않는다. 사고는 피해가고, 안정을 추구한다. 그러다보니 끈기가 없고 자기 줏대가 없기도 하다. 양은 둥글둥글하다. 모난 곳이 없다. 많은 사람들과 두루두루 잘 지낸다. 단, 월주에 양이 있으면 불륜, 망신, 파산 등 풍파와 손재를 조심해야 한다. 태는 이끌어주는..
2020.07.19 -
태(胎)의 특성
쇠병사묘 그리고 절을 통해 전환되어 태에서 생명을 잉태한다. 갑유 을신 병자 정해 무자 기해 경묘 신인 임오 계사 생명이 막 잉태된 상태 눈에 보이지 않지만 생명을 가진 상태 그러나 생명력의 정체를 알 수 없는 상태 존재하지만 드러나지 않음 태가 의미하는 것은 총명함이다. 하지만 태는 이상이다. 현실 감각이 떨어질 수 있다. 총명하게 잘 나가다가 갑자기 이상주의로 빠질 수 있다. 태는 아직 형체가 없다. 이것은 자유로움을 의미한다. 구속되지 않으며 자유롭다. 태의 성품은 부드럽고 배려하고 존중하는 성품으로 발전한다. 하지만 한편으로 자유로움은 조직에 약하다. 사주에 태가 강하다면, 의지적으로 한 가지에 몰두할 필요가 있다. 인생 초반의 태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시..
2020.07.19 -
절(絶)의 특징
사..죽음 묘..무덤 절..사라짐 갑신 을유 병해 정자 무해 기자 경인 신묘 임사 계오 절은 죽어 완전히 기운과 형체가 사라진 상태다. 무의 상태.. 아무런 힘도 없다. 미동도 없는 상태다. 절은 무와 유, 음과 양의 경계.. 변곡점에 해당한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지만, 흐름의 변화의 중심에 있다. 그런 면에서 자수와 비슷하다. 극한의 음 속에 생명을 품고 있는 자수와 비슷하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운이 전환되고 흐름이 변한다. 아무것도 없지만 에너지가 변화하는 기점이다. 그래서 절은 안정되지 못하다. 절은 크게 흥하거나 크게 망하거나.. 길흉화복의 간극이 크다. 인생을 극적으로 몰고 간다. 자수성가, 고립무원, 극한의 미모, 극한의 권력, 극한의 팔자.. 바로 절이다. 절이 강한 사주..
2020.07.13 -
병(病)의 특징
병.. 병상에 눕는다. 쇠-병-사 로 이어지는데, 사에서 죽게 된다. 죽음이 실제 죽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여러 의미로 죽음이 해석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갑사 을자 병신 정묘 무신 기묘 경해 신오 임인 계유 쇠와 마찬가지로 년주, 월주, 일주, 시주에서 모두 힘이 발현된다. 제왕을 거쳐 쇠에서 하락하기 시작한 기운은 병에서 병상에 눕는다. 말그대로 병이 드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년주에 병이 있으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건강에 치명적인 질병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평생 고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병은 관심, 사랑, 인기를 의미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도화살로 보기도 한다. 타인에게 많은 도움과 사랑, 관심을 받는다. 병은 감각, 창의, 풍류, 예능 이다. 목욕이 예술적인 ..
2020.07.11 -
쇠(衰)의 특징
제왕까지 상승의 기운이었다면, 쇠부터 점점 하락의 기운으로 접어든다. 갑진 을축 병미 정진 무미 기진 경술 신미 임축 계술 쇠의 힘은 년주, 월주, 일주, 시주에 있을 때 모두 발현된다. 제왕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으나, 서서히 내리막을 걷는 기운이다. 때문에 쇠가 강한 사람은 조용할지 모르지만, 크게 일을 내기도 한다. 물론 이것이 사건, 사고 또는 욱하는 기질로 나타날 수 있다. 쇠를 쇠퇴한다라고 보는 것은 글쎄 무리가 있다. 그보다는 온순함, 자비로움, 온후함, 담백함, 견실함 등이 더 가깝다. 전형적인 외유내강의 힘이라 할 수 있다. 제왕이라는 정점을 거친 쇠는 견실하고, 지혜롭고, 통찰력이 뛰어나다. 쇠는 무리하지 않고 조화와 조절을 추구한다. 쇠의 기운이 강하면 말수는 적어도 지혜롭기 때문에 애..
2020.07.11 -
제왕(帝旺)의 특징
제왕은 건록 다음, 쇠 이전이다. 제왕.. 말 그대로 왕좌에 오른다. 그러나 명리가 항상 그렇듯.. 가장 높은 곳에 있다는 것은 그 전에 힘이 발현됐기 때문이며, 이제는 서서히 내려갈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갑묘 을인 병오 정사 무오 기사 경유 신신 임자 계해 제왕은 십이운성 중 가장 높이 위치한 기운이다. 가장 높은 자리.. 경우에 따라 권력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제왕은 남을 인정하지 않는 독단적인 힘이기도 하며, 고독, 외로움이 필히 따르는 힘이다. 너무 강한 제왕의 기운은.. 개인적이고 비타협적인 길을 가는 성향이 있다. 특히, 일지, 월지에 제왕이 있다면.. 고립과 고독을 피할 수 없다. 이것은 결혼생활에도 적용이 된다. 결혼 좌절. 이혼 등이 따를 수 있다. 특히 병오일주, 정사일주, 계해일주..
2020.07.06 -
관대(冠帶)의 특징
세상에 호기심을 갖고 세상과 교루하는 목욕을 지나 관대에 이르러 자기만의 색을 갖게 된다. 갑축 을진 병진 정미 무진 기미 경미 신술 임술 계축 관대.. 성인식에서 관을 쓰는 것으로 비유해볼 수 있다. 부모에게 의지하는 시기를 벗어나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에 나아가고자 하는 힘이다. 힘의 세기로만 보면 십이운성 중 가장 세다. 직진성이 강하여 정면돌파를 하고자 한다. 그만큼 순수한 열정이다. 그만큼 발전하고 성장한다. 그만큼 질투가 따라 오기도 한다.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에 나가고자 하는 것 이것은 매우 순수하지만, 요령이 없다. 즉, 성숙하지 못했다. 자칫하면 아집, 독단으로 나타나 일을 그르치는 기운이 될 수도 있다. 투박하고 미성숙한 관대의 힘은 남에게 비판적이고 나에게 관대하여 남들과 부딪히기 십상..
2020.06.28 -
운(運)에 대하여
사주팔자는 태어난 년, 월, 일, 시에 의해 정해진 하늘의 기운 명(命)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운(運)은 무엇인가? 운은 살면서 겪는 다양한 변화의 기운이라 할 수 있다. 명이 같더라도 운이 다르면 길흉화복(吉凶禰福)을 달리한다. 10년을 주기로 바뀌는 대운(大遽) 1년을 주기로 바뀌는 세운(歲運) 1달을 주기로 바뀌는 절운(節運) 또는 월운(月運) 1일을 주기로 바뀌는 일진(日辰) 1시간을 주기로 바뀌는 시진(時辰) 이 있다.
2020.03.24 -
명리학은 언제 시작되었을까?
명리학의 기원(起源)은.. 상나라(BC 1600 ~ BC 1046)를 건국한 성탕의 이름은 천을이었다. 이름에서 천간을 쓰고 있다. 이후로도 성나라 임금은 모두 천간의 이름을 사용했다. 청나라 자평팔자사언집액(子平八字四言集腋)에 의하면, "주나라(BC 1046 ~ BC 771)의 낙녹자(珞祿子)와 귀곡자(鬼谷子)"라고 알려져 있다. 또는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BC 8세기 ~ BC 3세기)에 낙녹자삼명소식부(珞E彔子三命消息賦)를 쓴 낙녹자, 귀곡자를 쓴 귀곡자라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주나라, 춘추전국시대 당시 위 자료들은 현재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해석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는 사람도 있다. 한나라 (BC 206년 ~ AC 220년) 선제왕때(약 AC 126년) 목성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의 예법으..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