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운성(11)
-
절(絶)의 특징
사..죽음 묘..무덤 절..사라짐 갑신 을유 병해 정자 무해 기자 경인 신묘 임사 계오 절은 죽어 완전히 기운과 형체가 사라진 상태다. 무의 상태.. 아무런 힘도 없다. 미동도 없는 상태다. 절은 무와 유, 음과 양의 경계.. 변곡점에 해당한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지만, 흐름의 변화의 중심에 있다. 그런 면에서 자수와 비슷하다. 극한의 음 속에 생명을 품고 있는 자수와 비슷하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운이 전환되고 흐름이 변한다. 아무것도 없지만 에너지가 변화하는 기점이다. 그래서 절은 안정되지 못하다. 절은 크게 흥하거나 크게 망하거나.. 길흉화복의 간극이 크다. 인생을 극적으로 몰고 간다. 자수성가, 고립무원, 극한의 미모, 극한의 권력, 극한의 팔자.. 바로 절이다. 절이 강한 사주..
2020.07.13 -
묘(墓)의 특징
묘.. 무덤에 들어가다. 갑미 을술 병술 정축 무술 기축 경축 신진 임진 계미 묘는 년주, 월주, 일주, 시주에서 모두 힘을 발휘한다. 묘는 무덤으로 들어가는.. 달리 말해, 돌아올 수 없는 창고, 상자 안으로 들어간다. 이것은 저축하고 모으는 기질이 강한 것과 상통한다. 매우 알뜰하고 검소하다. 묘는 조금씩 조금씩 자갈을 옮겨 산을 옮기는 타입이다. 전형적인 대기만성형이다. 그만큼 철두철미하고 한 발, 한 발 계획대로 추진한다. 한편 묘는 열등감이기도 하다. 컴플렉스가 있다면 그것을 극복하고 빠져나오지 못하고 계속 컴플렉스를 안고 살아간다. 시기 질투도 강해서 계속해서 미워한다. 그러다가 본인의 그런 모습에 본인이 실망하고 또다른 열등감에 빠진다. 묘는 감정표출이 적다. 박스 안에서 도무지 나오지 않기..
2020.07.13 -
사(死)의 특징
제왕-쇠-병.. 그리고 사다. 병상에 눕고, 마침내 생명을 다한다. 갑오 을해 병유 정인 무술 기인 경자 신사 임묘 계신 사는 년주, 월주, 일주, 시주에서 모두 힘을 발휘한다. 사는 죽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죽는다는 것이 부정적인 의미만은 아니다. 그렇게 생각했다면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일 것이다. 사는 모든 것이 마침내 멈춘 상태다. 정지.. 이는 마지막.. 결실.. 결과다. 사는 하나에만 몰입하는 힘이 있다. 공부를 하거나, 연구를 하거나, 작품을 내거나, 발명을 할때 끝장을 보는 힘은 사에서 나온다. 사는 아주 야무지고 독하다. 물고 놓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후천적이다. 철저하고 준비하며 결과를 낸다. 한편, 본인이 이기는 자를 무시하고 억누르기도 한다. 일지의 사는 생애 굴곡이 많음을 의미한다...
2020.07.13 -
병(病)의 특징
병.. 병상에 눕는다. 쇠-병-사 로 이어지는데, 사에서 죽게 된다. 죽음이 실제 죽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여러 의미로 죽음이 해석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갑사 을자 병신 정묘 무신 기묘 경해 신오 임인 계유 쇠와 마찬가지로 년주, 월주, 일주, 시주에서 모두 힘이 발현된다. 제왕을 거쳐 쇠에서 하락하기 시작한 기운은 병에서 병상에 눕는다. 말그대로 병이 드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년주에 병이 있으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건강에 치명적인 질병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평생 고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병은 관심, 사랑, 인기를 의미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도화살로 보기도 한다. 타인에게 많은 도움과 사랑, 관심을 받는다. 병은 감각, 창의, 풍류, 예능 이다. 목욕이 예술적인 ..
2020.07.11 -
쇠(衰)의 특징
제왕까지 상승의 기운이었다면, 쇠부터 점점 하락의 기운으로 접어든다. 갑진 을축 병미 정진 무미 기진 경술 신미 임축 계술 쇠의 힘은 년주, 월주, 일주, 시주에 있을 때 모두 발현된다. 제왕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으나, 서서히 내리막을 걷는 기운이다. 때문에 쇠가 강한 사람은 조용할지 모르지만, 크게 일을 내기도 한다. 물론 이것이 사건, 사고 또는 욱하는 기질로 나타날 수 있다. 쇠를 쇠퇴한다라고 보는 것은 글쎄 무리가 있다. 그보다는 온순함, 자비로움, 온후함, 담백함, 견실함 등이 더 가깝다. 전형적인 외유내강의 힘이라 할 수 있다. 제왕이라는 정점을 거친 쇠는 견실하고, 지혜롭고, 통찰력이 뛰어나다. 쇠는 무리하지 않고 조화와 조절을 추구한다. 쇠의 기운이 강하면 말수는 적어도 지혜롭기 때문에 애..
2020.07.11 -
제왕(帝旺)의 특징
제왕은 건록 다음, 쇠 이전이다. 제왕.. 말 그대로 왕좌에 오른다. 그러나 명리가 항상 그렇듯.. 가장 높은 곳에 있다는 것은 그 전에 힘이 발현됐기 때문이며, 이제는 서서히 내려갈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갑묘 을인 병오 정사 무오 기사 경유 신신 임자 계해 제왕은 십이운성 중 가장 높이 위치한 기운이다. 가장 높은 자리.. 경우에 따라 권력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제왕은 남을 인정하지 않는 독단적인 힘이기도 하며, 고독, 외로움이 필히 따르는 힘이다. 너무 강한 제왕의 기운은.. 개인적이고 비타협적인 길을 가는 성향이 있다. 특히, 일지, 월지에 제왕이 있다면.. 고립과 고독을 피할 수 없다. 이것은 결혼생활에도 적용이 된다. 결혼 좌절. 이혼 등이 따를 수 있다. 특히 병오일주, 정사일주, 계해일주..
2020.07.06 -
건록(健祿)의 특징
건록..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을 이겨낸다. 세상의 모진 풍파를 견디고 세상을 향해 우뚝 선다. 갑인 을묘 병사 정오 무사 기오 경신 신유 임해 계자 관대가 성숙하지 못하고 열정만 너무 강했다면, 건록은 성숙했고, 힘도 있어 결과를 만들어낸다. 하지만 관대, 건록 모두 이기적인 면은 있다. 현실적으로 강한 힘은 결과까지 만든다. 그러나 힘이 강해 일이 많다. 삶이 평온하고 안정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 왕성한 힘으로 실수를 하여 큰 책임을 지기도 한다. 힘이 센 만큼, 행동에 큰 책임이 따르기 때문이다. 세상을 이겨내고 스스로 서는 힘 한 마디로 자수성가다. 때문에 프리랜서나 사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만한 자격이 있다. 그만큼 많은 풍파를 이겨냈을 것이다. 건록의 강한 힘을 컨트롤하는 것은 매우 중요..
2020.07.02 -
관대(冠帶)의 특징
세상에 호기심을 갖고 세상과 교루하는 목욕을 지나 관대에 이르러 자기만의 색을 갖게 된다. 갑축 을진 병진 정미 무진 기미 경미 신술 임술 계축 관대.. 성인식에서 관을 쓰는 것으로 비유해볼 수 있다. 부모에게 의지하는 시기를 벗어나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에 나아가고자 하는 힘이다. 힘의 세기로만 보면 십이운성 중 가장 세다. 직진성이 강하여 정면돌파를 하고자 한다. 그만큼 순수한 열정이다. 그만큼 발전하고 성장한다. 그만큼 질투가 따라 오기도 한다.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에 나가고자 하는 것 이것은 매우 순수하지만, 요령이 없다. 즉, 성숙하지 못했다. 자칫하면 아집, 독단으로 나타나 일을 그르치는 기운이 될 수도 있다. 투박하고 미성숙한 관대의 힘은 남에게 비판적이고 나에게 관대하여 남들과 부딪히기 십상..
2020.06.28 -
목욕(沐浴)의 특징
장생에서 처음 세상으로 나온 생명은목욕에서 세상과 교류한다.그리고 관대에서 본인만의 색깔을 갖는다. 그래서 목욕에서 다양한 교류를 통해정체성을 찾아간다. 갑자을사병묘정신무묘기신경오신해임유계인 목욕은 몸을 깨끗이 하고세상에 나가 교류하는 단계다. 유아기에 해당한다.사회를 접하고 적응하고 따라하고 배운다.두려움이 없고 사교적이다.목욕의 기운이 강한 사람은중재, 교섭, 사교, 외교 등의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어린아이의 순수함으로감수성, 창의력, 직관력을 보이기도 한다.관심과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긍정적인 방향으로 쓰이면 좋지만 너무 많은 것에 관심이 분산되거나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것에 너무 매몰되기도 한다.고전에서는 목욕을 음란한 것으로 보기도 했다.그러나 목욕은 순수한 것이다. 다만 대운, 세운에 도화살이 ..
2020.05.13 -
장생(長生)의 특징
장생은 탄생을 의미한다. 잉태되어 있던 태아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순수함의 결정체다. 그리고 성장의 무한한 가능성이다. 갑해 을오 병인 정유 무인 기유 경사 신자 임신 계묘 장생은 순수하고 투명하다. 장생의 기운이 있는 사람들에게서는 특유의 순수함을 느낄 수 있다. 순수하고 깨끗한 성품을 품고 있다. 장생의 기운이 강하면 이를 토대로 성장해 나간다. 때문에 성장 욕구, 성취 동기가 남달리 강하다. 장생은 배움을 즐긴다. 배우는 것을 어려워하지 않는다. 항상 배우고자 한다. 순수하고 밝은 에너지 배우고 성장하는 힘 청렴결백한 성품 이는 낙천적이고 창의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순수함으로 인해 예술성, 배움으로 기술성이 뛰어나다. 일지가 장생인 경우, 그 중에서도 양간인 경우(갑병무경임) 부모로부터 ..
202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