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66)
-
음양오행(陰暘五行) 바로 알자.
동양 선조들의 근원에는 음양오행이 자리잡고 있었다. 세월의 흐름, 계절, 시간의 순환, 인간의 이해, 풍수지리, 한의학, 사회현상, 문화, 종교 등등 모든 인간사의 바탕을 이해하고자 정립한 학문, 그리고 철학에 음양오행이 있었다. 동남아시아의 신앙에는 불교를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Yin-Yang, 즉 음양이 자리잡고 있다. 기원전 고대 중국부터 명리학이 학문으로 시작해온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우리나라 또한 많은 실생활에 음양오행이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4살차이는 궁합도 안본다는 말은 4년 단위로 합을 이루는 지지삼합에 근원을 두고 있다. 태극기의 태극 또한 음양의 조화를 표현한 것이다. 태극기의 사괘는 오행을 표현한 것이다. 법조문이나 기업에서 갑,을,병 등의 순서로 표현을 하는 것..
2020.04.13 -
천간이란?
천간은 시간의 흐름, 시간의 순환이라 할 수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다시 봄, 여름, 가을, 겨울 이처럼 시간은 순환하며, 과거 동양에서는 이것을 천간으로 나타냈다. 마찬가지로 천간에 지지가 합쳐져 60개, 즉 60년의 시간의 개념을 형성한다. 60갑자라고도 한다. 하늘의 기운 천간과 땅의 기운 지지의 작용으로 시간의 흐름이 형성된다. 이를 간지라 한다. 천간은 총 10개로 구성된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그 특징은 아래와 같다.
2020.04.13 -
십신의 성패(成敗)
성 패 비견 동업, 화합 / 형제, 친구 다툼, 경쟁 / 형제, 친구 겁재 투자, 횡재 / 이성, 지인 파재, 실물 / 부인, 부친 식신 생계, 평안 / 부하, 자식 실증, 위약 / 부하, 자식 상관 변화, 변동 / 부하, 지식 실직, 위법 / 부하, 자식 재 취부, 충족 / 부친, 부인 부도, 탕진 / 부친, 부인 관 진급, 취업 / 남편, 자식 관재, 퇴직 / 남편, 자식 살 성공, 업적 / 수장, 자식 사망, 수술 / 적군, 상사 인 합격, 문서 / 부모, 어른 탈락, 해고 / 부모, 어른
2020.04.11 -
운(運)이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기운을 운(運)이라 한다. 사주는 고정되어 있고, 운은 변화를 한다. 시진(時辰) : 시간의 흐름 일진(日辰) : 하루 24 시간의 흐름 절운(節運) : 절기의 흐름 세운(歲運) : 1 년의 흐름 대운(大運) : 10 년의 흐름 운은 양력, 음력을 따르지 않고 절기를 따르기 때문에, 월운이라 하지 않고 절운이라 한다. 시진(時辰) 시의 흐름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12가지를 썼다. 그래서 하루 24시간에 시진은 12번 바뀐다. 위 순서대로 시진은 자시(子時)부터 시작한다. 천간에 따라오는 자시는 아래와 같다.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자 시로 시작 병자 시로 시작 무자 시로 시작 경자 시로 시작 임자 시로 시작 형은 송사나 시시비비 충은 갑..
2020.04.10 -
12신살(神殺)
12신살은 궁과 연결되면, 어떤 심리를 나타내게 된다. 겁살(劫殺) : 귀중한 것을 빼앗긴다. 재물손상, 부친의 불행, 처의 변고 등. 반대로 크게 재물이 들어오기도 한다. 재살(災殺) : 관재구설로 화를 입는다. 불의의 사고, 건강, 재산손실, 납치, 감금, 감옥 천살(天煞) : 천재지변을 의미한다. 지살(地殺) : 이곳 저곳 옮겨다니며 땅을 밟는다. 이사, 이직, 여행, 발령, 이민, 차량사고 년살(年殺) : 이성에 대한 관심이 지나치게 많고, 유혹에 넘어간다. 좋은 의미로는 연예인, 모델, 예술가 등으로 이름을 알리기도 한다. 월살(月殺) : 근거지의 파괴를 뜻한다. 동지섣달 달을 보고 임을 그리워하듯이 배우자와 함께 지내지 못하는 등 근본이 무너질 수 있다. 망신살(亡身煞) : 타인의 입에 자주 ..
2020.04.09 -
형충회합(刑沖會合)
형충회합(刑沖會合)의 형(刑)은 삼형(三刑)이 있다. 자묘(子卯) - 무례지형(無禮之刑) 사주에 자묘가 같이 들어있는 사람은 예의에 벗어나는 언행을 할 수 있다. 인사신(寅巳申) - 무은지형(無恩之刑) 사주에 인사신이 같이 들어있는 사람은 은혜를 원수로 갚을 수 있다. 인사신 중 두 글자가 사주에 들어있고, 나머지 한 글자가 운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도 그럴 수 있다. 축술미(丑戌未) - 시세지형(恃勢之刑) 사주에 축술미가 같이 들어있는 사람은 자신 주위의 세력을 믿고 날뛸 수 있다. 축술미 중 두 글자가 사주에 들어있고, 나머지 한 글자가 운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도 그럴 수 있다. 형충회합의 충은 잘 알려진 7번째 지지간의 충이 있다. 인신, 사해, 자오, 묘유, 진술, 축미 단, 충이라고 무조건 나쁜 것은..
2020.04.09 -
궁(宮)에 대하여
궁합이라는 단어 또한 명리학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사주에는 주가 4개인 것처럼 궁이 4개다. 년지는 조상궁, 뿌리(根), 초년(~20세) 월지는 부모궁 또는 부모,형제 궁, 묘목(苗), 청년(~40세) 일지는 배우자궁, 꽃(花), 장년(~60세) 시지는 자식궁, 열매(實), 말년(~80세) 단, 인류의 평균 수명이 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유연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명리학 고전에는 초,청,장,말년을 15세를 기준으로 했다.
2020.04.09 -
용신(用神)의 구분과 심리
용신(用神) 이란? 십신 중 본인 격인 비견, 겁재를 제외하고 나머지를 팔정격(八正格)이라고 한다. 팔정격에서 재(財), 인(印)은 길신으로 정(正), 관(偏)을 가리지 않는다. 해서 식신, 상관, 재, 편관, 정관, 인 .. 이 여섯 가지를 육신이라 한다. 이 육신에서 쓰는 신이 용신인데, 줄여서 식(食), 상(傷), 재(財), 관(官), 살(殺), 인(印)이 용신(用神) 이 된다. "팔자용신 전구월령(八字用神 專求月令)" 「자평진전子平眞詮」 용신은 필히 월령에서 구한다. 용신은 반드시 월령에서 구한다. 이것이 서자평 선생이 창시한 일위주의 자평명리학의 근본이다. 그러나 이것을 모르고 용신을 아무데나 적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명리학을 왜곡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명리학을 미신적으로 여기게끔 하는 요인..
2020.04.07 -
지장간(支藏干)
지장간은 지지 속에 감춰져 있는 천간의 기운을 뜻한다. 천간은 한 개의 기운만 가지고 있지만, 지지는 둘 또는 셋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특히, 월지의 지장간은 여기, 중기, 정기로 나눠서 사주의 핵심이 되는 용신(用神)이 되므로 항상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봄에는 숙살지기 즉 만물이 성장을 마치고, 죽어가는 기운을 나타내는 가을을 대표하는 금 기운이 없다. 여름에는 휴식을 취하고, 만물의 근원인 물이 땅으로 들어가는 기운을 나타내는 겨울을 대표하는 수 기운이 없다. 가을에는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고, 소생하여 자라나는 기운을 나타내는 봄을 대표하는 목 기운이 없다. 겨울에는 만물이 가장 힘차게 생동하고, 장성하여 꽃을 피우는 기운을 나타내는 여름을 대표하는 화 기운이 없다. 지장간 내 숫자의 합은..
2020.04.06 -
편인(偏印), 정인(正印)의 심리(心理)
편인의 심리 장점 단점 논리적 심사숙고 신비주의 경청 철학적 사고 의심증 술수, 모사 공상, 망상 결정지연 신뢰감 결여 편인은 논리적이다. 생각이 깊다. 그래서 신비적인 것에 관심이 많다. 남의 말을 끈기있게 잘 들어주며 철학적 사고도 뛰어나다. 편인은 의심이 많다. 남의 말을 잘 들어주지만 쉽게 신뢰하지 않는다. 정인의 심리 장점 단점 보수적 안정추구 도덕적 맹목적 신뢰 교육지향 무력 혁신성 결여 융통성 결여 잦은 사기 잦은 간섭 정인은 전형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띈다. 도리, 안정, 예의, 예절을 중시한다. 남을 가르치려는 성향이 있다. 한편 남을 너무 쉽게 믿는 면도 있다.
2020.04.06